반응형
율곡 이이(1536~1584)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이자 정치가로, 실천적 유학 사상을 바탕으로 조선 사회의 개혁을 주장하였으며, 십만 양병설로 유명한 안보론자이기도 합니다.
율곡 이이(李珥) - 조선을 설계한 성리학자이자 정치가
율곡 이이(李珥, 1536년 ~ 1584년), 호는 율곡(栗谷)이며,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이자 뛰어난 정치가, 교육자입니다. 어머니는 현모양처의 표상인 신사임당이며, 아홉 번이나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불릴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자랑했습니다. 그는 현실 참여형 유학자로, 이상과 실천의 조화를 추구했으며, 실천적 유학 사상을 바탕으로 조선 사회의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또한, 임진왜란의 위기를 예견하고 '십만 양병설'을 주장한 안보론자이기도 합니다.
📖 주요 사상과 업적
이율곡은 "이(理)는 하나이나 기(氣)는 각각이다"라는 이기이원론적 일원론을 주장하며 독자적인 성리학 사상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경장(更張) 개혁론을 통해 군사, 인재, 재정 등 다양한 제도 개혁을 제안했으며, 왜구의 침입과 국방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임진왜란 전 '십만 양병설'을 주장하여 국가 안보 의식을 강조했습니다. 9세에 이미 진사 시험에 합격하고 29세에 문과에 장원 급제하는 등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이조판서, 대사헌 등 요직을 역임하며 현실 정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 주요 저서
이율곡은 학문 연구에도 매진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군주 교육 지침서인 『성학집요(聖學輯要)』, 정치 및 행정 개혁 방향을 제시한 『동호문답(東湖問答)』, 청소년 학습 지침서인 『격몽요결(擊蒙要訣)』 등이 있습니다.
⚔️ 십만 양병설과 국가관
이이는 왜구의 침입과 국방 문제에 깊이 우려하며 10만의 정예군 양성을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임진왜란 이전의 예견적 경고로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국가의 장기적인 안보 전략을 강조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반응형